휘트스톤 브리지 회로 해석과 저항 측정 방법, 평형 조건, 교류 브리지 응용, 전기기사 문제 푸는 꿀팁까지 완벽 정리! 실무와 시험에 모두 도움되는 핵심 이론 정리해 봅니다.
목 차
숨기기
회로이론 기초 개념 요약
- 전압(Voltage): 전기의 압력. 전자를 움직이게 만드는 힘. 단위는 V(볼트)
- 전류(Current): 전자의 흐름. 단위는 A(암페어)
- 저항(Resistance):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. 단위는 Ω(옴)
- 옴의 법칙(Ohm’s Law): V = IR (전압 = 전류 × 저항)
- 직렬 연결: 저항이 일렬로 연결됨. 전체 저항 = R1 + R2 + …
- 병렬 연결: 저항이 나란히 연결됨. 전체 저항 = 1 / (1/R1 + 1/R2 + …)
- 브리지 회로란?: 전기적인 균형 상태를 이용해 저항, 인덕턴스 등을 측정하는 회로 구조
위 개념을 바탕으로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를 이해하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게 됨.
휘트스톤 브리지 저항 측정 회로 구조

- 휘트스톤 브리지는 사각형을 기울인 형태의 회로로, 네 변에 각각 특정 위치에 저항 있음.
- 총 4개의 저항(R1, R2, R3, Rx) 형태로 구성되며, Rx는 미지 저항.
- 중심에는 검류계가 연결되어 전류 흐름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음.
- 회로에서 마주보는 저항들의 곱이 같을 때, 중심 대각선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. 이를 평형 상태라고 함.
- R1과 R2저항이 다른 선상에 있고 마주 본다면 = R1 × R2
- R3과 R4저항이 다른 선상에 있고 마주 본다면 = R3 × R4
- 이미지에서 다른 선상에서 R1과 Rx저항이 마주 보고 R3과 Rx저항이 마주 보고 있으므로 R1Rx = R3Rx
휘트스톤 브리지 평형 조건
- 구성: Rx는 미지 저항, R1~R3는 기준 저항
- 대각선에는 검류계가 연결됨
- 전류가 흐르지 않는 평형 조건:
- R1 × Rx = R2 × R3 또는 R1 / R2 = R3 / Rx
- 이 조건이 성립하면 a절점과 b절점의 전압이 같아지고, 검류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음
- 따라서 미지 저항 Rx는 아래와 같이 계산 가능:
- Rx = (R2 × R3) / R1
휘트스톤 브리지 저항 측정 원리 쉽게 이해하기
수도꼭지와 호스의 수압 비유로 이해하기

- 각 저항은 수도꼭지의 밸브 역할을 함
- 양쪽 압력이 같다면 물이 흐르지 않듯, 전압이 같으면 전류도 흐르지 않음
- 저항값을 조절하여 양쪽 전위차를 같게 만들면 평형 상태가 됨
교류 브리지 회로의 평형 조건 (응용편)

- 교류 회로에는 인덕턴스(L), 캐패시턴스(C) 요소가 포함됨
- 임피던스 계산이 필요하며, 조건은 다음과 같음:
- XL = ωL, XC = 1/ωC
- 평형 조건: R1 × R2 = L / C
- 정리식: L = R1 × R2 × C
- 위상(Phase), 주파수(Frequency)까지 고려해야 함
- 맥스웰 브리지에서 자주 활용됨
- 시험 꿀팁: 기출문제에서는 종종 ‘같은 선상에 있지 않은 저항 쌍’을 곱하고 C까지 곱해주는 보기 중 정답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음
- 예를 들어, 대각선 또는 교차된 위치에 있는 R1과 R2가 주어지고 C가 함께 있을 경우
- 보기 중 L = R1 × R2 × C 구조가 있으면 이를 정답으로 선택하는 것이 정석
다양한 저항 측정 방식 요약 (휘트스톤 브리지 외)
- 캘빈 더블 브리지: 1Ω 이하 미소 저항 측정용 (4단자 정밀형)
- 콜라우시 브리지: 전해액 및 접지저항 측정용 (전극 간 거리 고려)
- 메거(Megger): 고전압 절연 저항 측정기 (전선, 피복 검사용)
시험에서 휘트스톤 브리지 문제 빠르게 푸는 전략
휘트스톤 브리지 문제 풀이 핵심 전략
- 회로 모양을 빠르게 스캔하자
- 사각형 회로 구조 + 대각선 검류계가 연결되어 있으면 휘트스톤 브리지 구조임을 판단
- 마주보는 저항의 곱을 비교하자 (같은 선상은 제외)
-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저항들의 곱을 비교해야 함
- 조건: R1 × R2 = R3 × R4
- 교류 브리지 문제는 평형 공식을 빠르게 찾자
- R1, R2가 마주보고 있고 C가 포함된 구조라면
- 정답 보기 중 L = R1 × R2 × C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자
휘트스톤 브리지 기출문제 예제 & 실기 연계
예제 1 (이론)
문제: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에서 R1 = 100Ω, R2 = 200Ω, R3 = 300Ω일 때, 브리지가 평형을 이루기 위한 Rx 값은?
풀이:
- 평형 조건: R1 × Rx = R2 × R3
- 100 × Rx = 200 × 300 → Rx = 60,000 / 100 = 600Ω
정답: 600Ω
예제 2 (교류 응용)
문제: 교류 브리지 회로에서 R1 = 100Ω, R2 = 50Ω, C = 10μF일 때, 브리지가 평형을 이루기 위한 L 값은?
풀이:
- 평형 조건: L = R1 × R2 × C
- L = 100 × 50 × 10×10⁻⁶ = 0.05 H
정답: 0.05 헨리
결론 및 요점 정리
- 전기 회로에서 저항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배우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 휘트스톤 브리지입니다. 휘트스톤 브리지는 전기 회로의 기본이자 시험과 실무에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구조
- 마주보는 저항의 곱이 같아지면 회로는 평형 상태가 되며, 이를 통해 미지 저항을 정밀하게 계산 가능
- 기출문제에서 같은 선상이 아닌 다른 선상에 있는 저항의 곱 + C 형태의 식(L = R1 × R2 × C)이 보기에 있다면, 교류 브리지 문제로 간주하고 해당 보기를 우선 고려해야 함
- 실무에서는 회로 구성 정확성, 시험에서는 회로 도식 파악 속도가 핵심
- 전기기초 지식 없이도 준비 개념 요약을 통해 흐름을 익히고, 문제 풀이 전략을 통해 실력을 강화할 수 있음
함께 읽으면 좋은 글
- 전열기 전력 계산 방법: 가변저항 변화에 따른 소비 전력 분석 및 공식 활용 관련 정보5 (P=VI, I²R, V²/R)
- 전압원 전력 계산 쉽게 이해하기: 회로이론에서 배우는 공급과 소비 정보7
- 전열선 전력 계산 공식 정리: 저항과 길이 문제 푸는 꿀팁 정보6
- 전력 전압 관계 쉽게 이해하기: V가 줄면 P는 얼마나 줄어들까? (P = V × I 관련 정보9)
- 합성 내부저항 계산: 건전지 직렬과 병렬 연결 관련 정보11
- 병렬 회로 전류 비로 R1과 R2저항 구하는 문제에 대한 이해 위주 학습
- 콘덕턴스: 병렬회로 문제풀이로 용어나 계산식 이해 정보7
- 직렬과 병렬 회로: 전압, 전류, 저항 쉽게 배우기,중학교 과학 & 전기기사 회로이론 관련 정보3
- 키르히호프의 법칙 정보3: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하기
- 옴의 법칙: 전압, 전류, 저항의 관계를 쉽게 이해하기7
- 전하, 전자가 전기인가? 전기장, 자기장, 전기신호, 전압과 전자의 이동 등에 대한 정보5
- 전기 전자 전하: 우리 주변의 보이지 않는 힘 쉽게 이해하기
- 옴의 법칙: 전류 기호 I의 유래 전압과 저항과의 관계 등 관련 정보5
- 전하Q와 전류I의 유래와 기호에 대한 이야기4
- 전기 관련 기초회로이론 개념 완벽 정리6: 전자, 전하, 전류, 저항, 배터리 원리까지 한눈에
- 전기기사 필기 공부 순서: 효율적인 단계별 전략3으로 단기간 합격 노리기
- 뉴스레터(NewsLetter) 어떤 방식으로 시작할까: 워드프레스 프러그인 vs WP서버 호스팅업체 vs 뉴스레터 플랫폼 활용 정보3
- 외화 통장(외환계좌): 구글 애드센스 수익과 활용성 최적화를 위한 선택 정보6
- 애드센스 납부자 정보: 싱가포르 선택 이유와 매년 납세자 거주 정보 업데이트 필요성 관련 정보4
- LG 알뜰폰 유모비(U+유모바일) 고객센터 번호 이용 가이드: 자녀 사용요금 내역 확인 및 요금제 변경 등 관련 정보5
- 백색 소음 효과: 집중력 향상과 부작용까지 정보4
- 애드센스 페이지뷰, 페이지 RPM, 노출수, 클릭수, CPC, 페이지 CTR의 이해와 최적화 방법 5
- 미성년자 자녀 학생할인 교통카드 및 용돈카드 만드는 방법과 종류4
- 비타민D 보충과 근감소증 예방 – 청소년부터 노년층까지 필수 정보6
- 고혈압 관리 완벽 가이드: 혈압 낮추는 생활 습관과 예방 관련 정보3